3, 4, 6 뇌신경의 주행
동안신경 주행 경로

- 시작점: 동안신경은 중뇌(midbrain)의 동안신경핵(oculomotor nucleus)에서 시작합니다. 이 핵은 상구(superior colliculus) 앞쪽에 위치하며, 동안신경섬유는 이 핵에서 시작하여 뇌간의 앞쪽으로 나옵니다.
- 출구: 동안신경은 뇌간의 복측(ventral side)에 있는 다리사이오목(interpeduncular fossa)을 통해 뇌간에서 나옵니다.
- 지주막하 공간: 뇌간에서 나온 후, 동안신경은 지주막하 공간(subarachnoid space)을 통해 전방으로 주행합니다. 이때 후교통동맥(posterior communicating artery)과 상소뇌동맥(superior cerebellar artery) 사이를 지나갑니다.
- 해면정맥굴 통과: 동안신경은 뇌경막(dura mater)을 뚫고 해면정맥굴(cavernous sinus)의 외측 벽을 따라 주행합니다. 이 해면정맥굴에는 동안신경 외에도 활차신경(4번), 삼차신경의 안신경(V1)과 위턱신경(V2), 갓돌림신경(6번)이 함께 지나갑니다.
- 위눈확틈새 진입: 해면정맥굴을 지난 후, 동안신경은 위눈확틈새(superior orbital fissure)를 통과하여 안와로 들어갑니다.
- 안와 내 분지: 안와로 들어온 동안신경은 위가지(superior branch)와 아래가지(inferior branch)로 나뉩니다.
- 위가지: 위곧은근(superior rectus muscle)과 위눈꺼풀올림근(levator palpebrae superioris muscle)을 지배합니다.
- 아래가지: 안쪽곧은근(medial rectus muscle), 아래곧은근(inferior rectus muscle), 아래빗근(inferior oblique muscle)을 지배합니다. 또한, 아래빗근으로 가는 가지에서 부교감신경섬유가 나와 섬모체신경절(ciliary ganglion)로 들어갑니다. 이 신경절에서 나온 신경섬유는 동공조임근(pupillary sphincter muscle)과 섬모체근(ciliary muscle)을 지배합니다.
핵심 요약
동안신경의 주행은 중뇌 → 지주막하 공간 → 해면정맥굴 → 위눈확틈새 → 안와의 순서로 이루어지며, 주로 눈의 움직임(상, 하, 내측 운동)과 동공 반사(pupillary light reflex), 그리고 수정체 조절(accommodation)에 관여하는 근육들을 지배합니다.
활차신경 주행 경로

- 시작점: 활차신경은 중뇌(midbrain)의 활차신경핵(trochlear nucleus)에서 시작합니다. 이 핵은 동안신경핵보다 아래쪽에 위치합니다.
- 독특한 교차점: 활차신경은 뇌신경 중 유일하게 뇌간의 등쪽(dorsal side)에서 나와 정중선에서 교차(decussation)하는 특징을 가집니다. 즉, 오른쪽 활차신경핵에서 나온 섬유는 왼쪽으로, 왼쪽 활차신경핵에서 나온 섬유는 오른쪽으로 교차합니다.
- 지주막하 공간 주행: 뇌간에서 나온 활차신경은 뇌간을 감싸며 전방으로 주행합니다. 이 과정에서 지주막하 공간(subarachnoid space)을 통과하며, 특히 후대뇌동맥(posterior cerebral artery)과 상소뇌동맥(superior cerebellar artery) 사이를 지나갑니다.
- 해면정맥굴 통과: 활차신경은 3번 뇌신경(동안신경)과 함께 해면정맥굴(cavernous sinus)의 외측 벽을 따라 주행합니다.
- 위눈확틈새 진입: 해면정맥굴을 지나 위눈확틈새(superior orbital fissure)를 통과하여 안와(orbit)로 들어갑니다.
- 안와 내 주행: 안와로 들어온 활차신경은 위빗근(superior oblique muscle)으로 직접 향합니다. 이 신경은 다른 근육으로 가지를 내지 않고 위빗근 하나만을 지배합니다.
활차신경의 주요 특징
- 가장 가느다란 뇌신경: 12개의 뇌신경 중 가장 얇고, 신경섬유의 수가 가장 적습니다.
- 유일한 등쪽 출구: 모든 뇌신경 중 유일하게 뇌간의 뒤쪽(등쪽)에서 나옵니다.
- 유일한 교차: 뇌간을 빠져나오기 전에 신경섬유가 반대편으로 교차하여, 왼쪽 활차신경은 오른쪽 위빗근을, 오른쪽 활차신경은 왼쪽 위빗근을 지배합니다.
갓돌림신경 주행 경로


- 시작점: 갓돌림신경은 다리뇌(pons)의 갓돌림신경핵(abducens nucleus)에서 시작합니다. 이 핵은 얼굴신경핵(facial nucleus)과 가깝게 위치합니다.
- 뇌간 출구: 신경 섬유는 갓돌림신경핵에서 나와 뇌간의 앞쪽, 즉 다리뇌와 숨뇌 사이 고랑(pontomedullary sulcus)에서 뇌 밖으로 나옵니다.
- 지주막하 공간: 뇌간에서 나온 후, 갓돌림신경은 지주막하 공간(subarachnoid space)을 통과하여 상승합니다. 이 경로는 복잡하고 여러 동맥과 인접해 있어 동맥류 등에 의해 압박받기 쉽습니다.
- 해면정맥굴 통과: 갓돌림신경은 3, 4번 뇌신경과 달리 해면정맥굴(cavernous sinus)의 외측 벽이 아닌, 해면정맥굴 내부를 관통하여 주행합니다. 이는 갓돌림신경이 해면정맥굴 내 염증이나 동맥류에 의해 가장 흔하게 손상되는 이유입니다.
- 위눈확틈새 진입: 해면정맥굴을 지나 위눈확틈새(superior orbital fissure)를 통과하여 안와(orbit)로 들어갑니다.
- 안와 내 주행: 안와로 들어온 갓돌림신경은 가쪽곧은근(lateral rectus muscle) 하나만을 지배합니다. 이 근육은 눈알을 가쪽으로 돌리는(외전) 역할을 합니다.
갓돌림신경 손상 증상
갓돌림신경이 손상되면 가쪽곧은근이 마비되어 눈이 안쪽으로 돌아가게 됩니다. 이로 인해 물체가 두 개로 보이는 복시(diplopia) 증상이 나타납니다. 특히, 마비된 쪽으로 눈을 돌리려 할 때 복시가 심해집니다.